2025 새해 인테리어 트렌드는? 국내외 트렌드 연구 기관 및 전문 매체를 통해 본 리빙 경향

Repost From_Maison&Objet Facebook

©Anne-Emmanuelle Thion Photographe

안녕하세요. 언제나 유익한 인테리어 정보를 전해 드리는 하농입니다. 2025년, 새로운 인테리어 트렌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Repost From_Maison&Objet Facebook

©Anne-Emmanuelle Thion Photographe

국내외 인테리어 전시회와 트렌드 연구 기관, 전문 매체가 분석한 인테리어 흐름을 통해 올해를 선도할 트렌드는 무엇이 있는지 발 빠르게 알아보세요.

 

2025 메종& 오브제 파리 S/S

”써리얼리티”

2025 Maison & Objet Paris S/S

“SURREALITY”

©Maison&Objet

메종&오브제는 인테리어 디자인, 홈 데커레이션, 라이프스타일 업계 전문가들이 한데 모이는 세계 최대 규모 홈 데커레이션 박람회입니다. 매년 면밀한 트렌드 분석과 함께 인스피레이션 테마를 선정하여 새로운 영감을 전하고 있습니다.

Repost From_Maison&Objet Facebook

©Maison&Objet

메종&오브제는 올해의 첫 인스피레이션 테마로 ‘SURREALITY_ NEW CREATIVE HORIZONS’를 발표하여 초현실주의가 가진 다재다능한 생명력에 집중하였습니다. ‘SURREALITY’라는 주제로 현실과 초현실이 흥미롭게 조합된 디자인 트렌드를 제안합니다.

Repost From_Maison&Objet Facebook

©Anne-Emmanuelle Thion Photographe

초현실주의 디자인은 매일 급변하는 혼란스러운 현실을 벗어나 꿈 같은 세계를 선사하여 새로운 즐거움과 에너지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Repost From_Maison&Objet Facebook

©Maison&Objet

메종&오브제 파리 S/S에서는 ‘What’s New? Space’ 특별 전시를 통해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모호한 초현실주의의 인테리어, 리테일, 호텔 공간을 다양하게 선보였습니다.

Repost From_Maison&Objet Facebook

(1)©Anne-Emmanuelle Thion Photographe

(2)©Anne-Emmanuelle Thion Photographe & Felix Del Maillot

각 공간은 재기발랄한 형태와 원색의 강렬한 색감들이 어우러져 지금껏 경험하지 못했던 독창적인 디자인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시선을 강렬하게 사로잡는 매혹적인 디자인으로, 단조로운 일상에 짜릿한 유희와 에너지, 다가올 미래에 대한 기대를 부여합니다.

 

하임텍스틸 2025

“퓨처 컨티뉴어스”

Heimtextil 2025

“Future Continuous”

©Alcova for Heimtextil

세계 최대 홈텍스타일 전시회 하임텍스틸이 지난 1월 13일부터 16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되었습니다. 하임텍스틸은 ‘Future Continuous(미래 진행형)’이라는 전시 메인 주제로, 25/26 텍스타일 트렌드를 발표하여 섬유의 광범위한 중요성과 그에 대한 비전적 관점을 제시합니다.

©Albert Font

올해의 테마는 섬유가 단순한 직물을 넘어 과거와 미래를 연결시키는 역사, 문화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텍스트(Text)라는 단어는 ‘직조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텍세레(texere)’에서 유래된 것처럼 섬유는 글자를 사용하기 훨씬 전부터 표현과 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최근 섬유 산업은 재생 농업, 환원 등 보다 본질적인 차원의 ‘지속 가능한’ 기술을 새롭게 도입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요소로 발전해가고 있습니다.

©heimtextil

하임텍스틸은 또 하나의 트렌드로 ‘천연 섬유와 전통 장인 정신의 르네상스’를 꼽았습니다. 디지털화되며, 일회성 문화가 짙어지는 이 시대에 천연 섬유와 장인 정신의 가치가 더욱 높아집니다.

황마, 양모 등 엄선된 고급 천연 소재를 사용,

핸드위빙 기법으로 제작된 리마데시오 신규 카펫 컬렉션

©Rimadesio

대마, 황마, 아마, 쐐기풀과 같은 천연 섬유와 지역의 특수성을 간직한 소재의 다시금 부상하고 있으며, 전통 장인 정신 및 기술의 중요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일례로 리마데시오는 황마, 양모 등 고급 천연 소재를 엄선하여, 장인의 핸드 위빙 기법으로 제작한 신규 카펫 3종을 출시, 최신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을 소개하였습니다.

 

CES 2025

“다이브 인”

CES 2025

“DIVE IN”

Repost From_CES Facebook

©CES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 CES 2025는 1월 7일부터 10일까지 ‘DIVE IN(몰입)’을 주제로 박람회를 개최했습니다. 전세계 160개국, 4500여개 기업이 참여해 업계의 흐름을 한눈에 짚어 볼 수 있는 장이 되었습니다.

CES 2025는 올해의 테마를 DIVE IN으로 설정하여 기술을 통해 연결(Connect)하고, 문제를 해결(Solve)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Discover)하자는 발전적인 메시지를 전달하였습니다.

CES는 이번 전시회에서 산업 전반에 중요한 영향력을 끼치는 5가지 핵심 기술을 트렌드로 제시하였는데요.

특정 산업에 맞춤형으로 진화하는 ‘버티컬 AI’, 맞춤형 헬스 케어와 치료의 개인화를 돕는 ‘디지털 헬스’, 미래 교통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첨단 모빌리티’, 인간 대체 기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로봇 공학’, 전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는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팬톤, 올해의 컬러

“모카 무스”

Pantone, The Color of the Year

“Mocha Mousse”

©Pantone

1963년 미국 뉴저지에서 설립된 색채 연구소 및 전문 기업 팬톤은 매년 ‘올해의 컬러’를 발표하여 패션, 뷰티, 인테리어 등 산업 업계 전반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습니다.

©Pantone

팬톤은 2025년 올해의 컬러로 모카 무스를 선정했습니다. 모카 무스는 따스한 색조의 멜로우 브라운으로, 따뜻하고 풍부한 브라운 톤을 자랑합니다. 부드러운 향과 색감이 매력적인 초콜릿, 커피, 카카오 등을 떠올리게 하여 편안함과 만족감을 선사하는 컬러입니다.

올해의 컬러 모카 무스와 맥을 같이 하는

조르다노 테레 디 비냐(Terre di Vigna) 마루와

리마데시오 154 아르길라(Argilla) 레더 마감재

©Listone Giordano, ©Rimadesio

팬톤 전무이사 리트리스 아이즈먼(Leatrice Eiseman)은 “모카 무스는 세련되고 화려한 동시에, 클래식하며 소박한 매력이 공존하는 색”이라며, “갈색에 대한 우리의 단편적인 인식을 고급스러움과 화려함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설명했습니다.

©Pantone

모카 무스가 올해의 색으로 선정됨에 따라 올해 패션, 뷰티, 전자, 인테리어 등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 적용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조용한 럭셔리 인테리어를 잘 보여주는 고급 주택 사례,

조르다노 내추럴 지니어스 슬라이데 마루가 적용되었다.

Repost From_Listone Giordano Homepage

Architects©Unione Montana Design

특히 패션 및 인테리어 업계에서는 단정함과 절제미가 돋보이는 '드뮤어(Demure)', ‘조용한 럭셔리(Quite Luxury)’ 트렌드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WGSN& 컬러로, 올해의 컬러 2025

“퓨처 더스크”

WGSN& COLORO, Color of the Year 2025

“Future Dusk”

©WGSN+Coloro

영국의 권위 있는 트렌드 예측 전문 기업 WGSN과 글로벌 컬러 전문 기업 컬러로가 함께 발표한 올해의 컬러는 퓨처 더스크입니다.

©WGSN+Coloro

퓨처 더스크는 짙은 청자색과 보라색의 조화가 신비로움을 자아내는 컬러로, 변화와 미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담고 있는 색상입니다. 어둠에서 빛으로, 황혼에서 새벽으로 넘어가는 듯한 색채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다가오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안이 공존하는 현 시대를 반영합니다. 신뢰감을 주는 블루 컬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매혹적인 짙은 색조로 미래지향적인 느낌과 안정감을 동시에 전달합니다.

퓨처 더스크는 변화와 전환을 상징하는 2025년 트렌드 컬러로, 패션과 디지털 디자인, 뷰티, 인테리어 분야까지 널리 활용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까사리빙,

2025 리빙 트렌드

CSLV,

2025 LIVING TREND

Repost From_까사리빙 홈페이지

©CASA LIVING

국내 주요 리빙&라이프스타일 매거진 까사리빙은 2025년 1월호에서 ‘2025~2026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테마로 업계 흐름을 다각도로 다루었습니다. 전문가 인터뷰와 챗GPT와 나눈 다이얼로그를 통해 시장을 관통하고 있는 굵직한 트렌드를 심도 있게 소개하였는데요.

흑연, 먼지, 와인 부산물을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웰빙 마루를 제작한

조르다노 Circular 프로젝트

Photo©designwanted

살바토리는 폐석재와 콩 레진 천연 접착제를 사용해

리사이클링 석재 Lithoverde®를 세계 최초로 출시했다.

©Salvatori

챗GPT는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다기능 공간 트렌드’, 친환경 및 절약형 디자인이 강조되는 ‘지속가능성’, 고도의 인공지능이 접목된 ‘스마트 홈’, 정신과 육체적 건강을 중시하는 ‘웰빙’, 중립적인 색상과 미니멀한 디자인이 강조되는 ‘뉴트럴 디자인’을 2025년 주요 트렌드 키워드로 선정하였습니다.

 

Repost From_Maison&Objet Facebook

©Greg Sevaz

오늘은 국내외 영향력 있는 박람회와 트렌드 연구 기관, 전문 매체 등이 분석한 2025년의 디자인 동향을 살펴 보았습니다. 시장을 굵직하게 관통하는 트렌드와 함께 한해를 활기차게 시작해보세요.

Previous
Previous

따라할 수 없는 가치, 프리미엄 원목 마루 조르다노

Next
Next

바닥에 예술적 감성을 더하다! 조르다노(Listone Giordano) 이색 패턴 마루 4